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대구 달성 徐氏의 정신적 지주인 구암서원을 아시나요?

by 차와무진 2025. 4. 15.
반응형

구암서원의 설립

구암서원은 1665년(현종 6년)에는 연구산(현. 제일여중)에 있었으나 이후 1675년(숙종 원년) 3월 29일 유림에서 구계 서침(徐沈) 선생을 봉안(奉安)하고 매년 제사 지내다가 1718년(숙종 44년)에 대구시 중구 동산동으로 이건(移建)한 것이다.
구계 서침은 세종이 달성서씨 세거지로 사용하는 달성(현. 달성공원)의 지형이 두형같고 주위가 천연적으로 높은 성벽으로 이루어 명승지라는 이야기를 듣고 남산고역(전.남산병원 일대)과 바꾸도록 하는 한편, 대대로 세록을 주겠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를 사양하자 서침의 뜻에 따라 대구 지방 일대에 거둬들인 환곡의 이자를 감해주기로 하였다 한다.
이에 은덕(恩德)을 입은 대구지방(영남유림) 주민들이 서침의 송덕(頌德)을 기리기 위하여 구암서원을 세운 것이다.

구암서원

구암서원의 역사와 설립 배경

  • 구암서원은 1665년(조선 현종 6년) 대구 연구산(현 중구 남산동)에 처음 세워졌으며, 1675년(숙종 원년) 3월 29일 유림이 구계 서침(徐沈) 선생을 봉안하고 매년 제사를 지내기 시작했다.
  • 이후 1717년 동산동으로 이건(移建)되었고, 서침(徐沈), 서거정(徐居正), 서해(徐解), 서성(徐省) 등 달성서씨 가문의 인물들을 추가로 배향했다.
  • 1868년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철거되었다가, 1924년 유림에 의해 재건, 1943년 숭현사와 강당이 중수되었다.
  • 1995년 현재의 산격동 연암공원 내로 이전되었으며, 2008년에는 서사원(徐思遠)도 추가로 모셨다

구암서원 숭현사의 건축 및 공간 구성

  • 숭현사는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의 주심포 양식(기둥머리 위에 공포를 짜는 전통 건축양식)으로 지어졌으며, 지붕은 팔작지붕(여덟 팔(八)자 모양) 또는 겹처마 맞배지붕으로 알려져 있다.
  • 사당은 정면에만 출입문이 있고, 나머지 세 벽은 두텁게 하여 내부에 어둡고 엄숙한 분위기를 조성한다.
  • 기단 앞면 좌우에 계단이 설치되어 동쪽 문으로 들어가고 서쪽 문으로 나오는 동입서출(東入西出) 의례를 따른다. 가운데 계단은 혼령이 다니는 곳으로 여겨진다.
  • 구암서원은 전학 후 묘(앞쪽에 강당, 뒤쪽에 사당을 두는 배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숭현사 외에도 강당(초현당), 동재(경례재), 서재(누학재), 누각(연비루) 등이 있다.
    구암서원 숭현사
    숭현사

구암서원 관람 꿀팁과 핵심 포인트

2024년 현재 구암서원은 단체 관람 외에도 자유 관람이 가능하며, 사전 예약 없이도 입장이 가능합니다. 매주 주말에는 지역 해설사 프로그램을 통해 역사적 배경과 건축미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어요. 구체적인 운영 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이며, 입장료는 무료입니다.

무엇보다 구암서원의 포토스폿은 전통 건축물과 주변 자연경관이 절묘하게 어우러져 있어, 인스타 감성 사진을 남기기에도 아주 좋아요. 특히 봄철이면 서원 주변으로 벚꽃과 개나리가 만개해 자연과 문화유산을 동시에 감상할 수 있습니다. SNS에서 “구암서원 벚꽃 명소”, “대구 전통 나들이 추천” 등의 해시태그로도 자주 등장하니 참고해 보셔도 좋겠죠?

 

주차 공간은 비교적 넓은 편이라 차량으로 이동하는 분들에게도 무리가 없고, 대중교통으로는 상당히 불편한 편이라 개인 차량을 이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구암서원 내부에는 상당히 많은 건축물이 있다.

특히 구암서원 입구에서 바로 보이는 연비루(鳶飛樓)는 보는 이로 하여금 눈을 압도를 하는 웅장한 자태를 뽐내고 있다.

구암서원의 미디어파사드 행사

대구 북구 구암서원에서는 전국 서원 최초의 미디어 파사드 공연을 2025년 5월부터 10월까지 매주 금요일 오후 8시에 개최합니다.

행사 개요

  • 기간: 5월~10월 매주 금요일
  • 시간: 오후 8시
  • 예약: 불필요(누구나 무료 관람 가능)
  • 내용: 조명과 관현악 음악을 활용한 4막 구성 공연으로, 구암서원의 역사와 선비 정신을 현대적 기술로 재해석 28.

공연 특징

  • 기술: 프로젝션 맵핑 기술을 활용해 건물 외벽에 영상과 빛을 투사
  • 구성:
    1. 서원의 문을 열며 시작되는 빛의 향연
    2. 관현악 음악과 함께하는 평화로운 마을 풍경
    3. 대구의 역사를 화려한 빛으로 표현
    4. 전통과 현대의 조화를 강조한 종막
  • 부대시설: 신천을 조망할 수 있는 초현당 툇마루에서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풍경 체험 가능 

이 행사는 LED 조명과 프로젝션 맵핑을 통해 고택의 본래 아름다움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문화유산을 새로운 방식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기획되었습니다

구암서원 미디어파사드

더불어 구암서원에서 보는 대구의 경치는 주 야간을 할 것 없이 대구 앞산 전망대 다음으로 대구의 전망 명소로 손꼽히고 있다.

대구의 전경 (야간과 주간)

 

 

구암서원의 주요 요약 및 방문 추천

대구 구암서원은 조선시대의 정신과 전통 건축의 미를 느낄 수 있는 아름다운 공간입니다. 역사와 교육, 자연과 감성을 모두 경험할 수 있는 이곳은 2025년 지금, 꼭 한 번 방문해 볼 만한 전통문화 핫플입니다. 어린이들의 인성교육과 예절교육을 운영하며, 서원에 대한 이야기이자 인성교육 프로그램인 "서원에서 길을 찾다"와 우리의 문화유산 체험 프로그램인 "서원 나들이",  다례 교육등 현대 사회에 적합한 인문이 있는 곳입니다.

주말 나들이나 가족 여행지로, 또는 조용한 힐링이 필요한 분들에게도 강력 추천드립니다. 지금 바로 구암서원으로 떠나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