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 4. 22. 주식시장 마감 브리핑

by 차와무진 2025. 4. 22.
반응형

코스피  : -0.07%   코스닥 : +0.09%

미 금융 시장 불안은 변동성 요인으로 인해 코스피 코스닥은 보합 수준으로 장을 마감했습니다.
트럼프의 파월 압박과 더딘 무역협상 진행 문제로 전일 미국시장이 상당한 하락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트럼프가 파월 압박하면서 파장 커지고 있습니다.
통화 정책 독립성 훼손은 불확실성 유발과 정책에 정치 개입하면 예측이 어렵게 되는 측면을 보이고 있습니다.


관세 협상에 뚜렷한 결론이 없어 관세협상 유예, 일부 한시적 면제 등 내용만 확인된 상태입니다.
현재까지 확정된 관세 협상 타결은 없는 것으로 보이며 이로 인해 경제 불확실성 여전하다는 점이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의 모든 자산이 흔들리고 있다는 점에서 주식 하락 외 금리 상승, 달러 하락 등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국내시장 특징

대선 공약주, 철강, 증권, 조선주가 오늘의 주식시장의 상승으로 나타나 관련 종목에 많은 기대를 걸고 있으나
반도체는 중국 화웨이 AI칩  출시 보도에 약세를 보였습니다.

외국인 초반 매수 보이기도 했으나 결국 매도로 전환하여 자금이 빠져나가고 있는 상태이다.
전체 매도 규모로 볼때 전기전자 매도 금액과 비슷한 수준이며,
금속, 운송장비, 금융, 통신은 매수로 주가가 약간의 희망을 주는 것으로 보였으며
기관은 전기전자 분야는 매도하였고, 금융, 전기가스, 화학 등 매수를 했습니다.

원/달러 환율 동향

달러 약세는 주식시장에서 몇 가지 변수가 될 수 있는 사안이며 미국에서 나와 다른 나라로 이동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반면 관세를 상쇄시켜 줄 환율 효과가 없는 점에 대해 상당한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아직 시장 상황을 정확히 판단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으로 시장상황을 읽기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테슬라 실적과 한미 협상을 넘기며 점차 가늠될 듯한 상황이 되고 있습니다.

트럼프의 파월 해임 관련 움직임

연준에 대한 불확실성 이어지나 주목할 변화도 있을 것으로 보고 있으며 트럼프의 파월에 대한 발언은 살짝 변화가 감지는 되고 있는 상태입니다. 오늘의 경우 파월에 대한 해임 코멘트는 없었습니다.
기준금리에 대해 인하를 하지 않는다는 말이 언급되어 정치적으로나 경제나 자국내의 경기는 나빠질 이유가 있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해임설에 시장이 흔들린 점 의식한 것으로 보여 해임 보다 금리인하 분야에 코멘트를 하는지 주목하고 있습니다.

 

 

마무리 - 단기수급변화와 외국인 매도

단기로는 수급 변화가 확인되지 않고 있으며 외국인 매도 지속되고 있고 수출주들의 방향성 없는 상태로 방향 보다 매물 소화하며 큰 일정 대기하는 국면임.


마무리하며 한마디,

실적주들 중심으로 조정 시 관심을 돌리는 게 투자의 방향으로 보이고 있어 부지런히 레이더를 가동해야 할 시기인 것 같습니다.

반응형